
DETAIL VIEW
Detail Description
[ 저자 약력 ]
▪ 김진미 교수/창업학석사
• 현)컴퍼니플러스 대표
• 현)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특임교수
• 고려대 창업경영대학원(창업학)석사
▪ 박광신/중원비행교육원 대표
• Aalto Univ.(Finland) Executive MBA
•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경영전문석사
•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창업학사
• 교육부 경영학사
• Univ. of the Fraser Valley(Canada) Business English Course
• 제13차 창업보육전문매니저
•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창업보육전문매니저 자격증 과정 강사
▪ 이점수 교수/경영학박사
• 현)강서대학교 겸임교수(G2빅데이터경영학과)
•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겸임교수(기술창업 보육론)
• 한양대학교 겸임교수(마케팅원론, 인터넷마케팅, e비즈니스개론, 소비자 심리학)
• 서경대학교 겸임교수(경영학 개론, 서비스마케팅, 인간관계론, 재테크론, 생각하는 소비문화)
머리말
2024년 개정판을 발간하면서...
코로나 이후 전 세계적으로 경제 패러다임이 바뀌는 가운데 우리 정부는 물론 주요 선진국에서도 ‘창업이 미래’라는 인식을 가지고 창업과 일자리 창출 분야에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다양한 시도와 경험을 축적하고 있습니다.
창업기업들이 사업화하는 과정에서 평균 80% 이상 도산하는 가운데, 기술이나 상품이 개발 과정을 거처 제품을 양산하고, 판매하는 사업화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 매우 어려운 ‘죽음의 계곡(Death Valley)’을 겪게 되는데 이런 사업 실패 현상을 막고, 성공적인 궤도로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이 바로 창업보육입니다.
창업보육의 중요성을 경제적 측면으로 본다면,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창업자들이 안정적 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그리고 혁신적 촉진 측면으로는 창업보육센터는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이 상용화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전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창업보육의 중요성은 지속 강조가 될 것이며, 더불어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됩니다.
창업보육의 시작은 1950년대 미국에서 시작되었고, 초기 기술 기반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한공간 제공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유럽과 아시아로 확산하게 되었습니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창업보육센터가 설립되기 시작하였고, 정부의 창업지원정책과 함께 창업보육전문매니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2000년대 초반부터 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과 자격증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Bruneel, Ratinho, Clarysse, Groen(2012) and Lalkaka(2000)의 연구, “Stages of Business Incubation Development”에 의하면 창업 교육으로부터 시작된 창업보육은 현대에 이르기까지 4단계의 성장단계를 거쳐 온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1. 태동 1세대(1950년대 후반 ~ 1980년대 중반) ⇨ 주로 인프라와 규모의 경제에 기반한 시기
2. 성장 2세대(1980년대 중반 ~ 1990년대 중반) ⇨ 사업지원에 보육 초점(보육 학습기) - 사업 성장 지속화 지원을 학습하는 시기
3. 성장 3세대(1990년대 중반 ~ 현재) ⇨ 보육산업의 성숙과 새로운 도전을 하는 시기 - 네트워크와 가치사슬 연계에 보육 초점 시기
4. 성장 4세대(2014년 이후 ~ 현재) ⇨ 창업보육은 공간 제공이나 경영 서비스의 개념이 아닌 투자 연계 역할을 강화하는 시스템
창업보육센터와 액셀러레이터는 창업보육의 근본적인 것 보다는 창업보육센터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차이를 나타내는 것은 창업보육전문매니저이며, 그 역할은 창업자에게 경영, 마케팅, 재무 등 다양한 분야의 지원을 제공하면서 활발한 네트워킹을 통해 창업자와 투자자, 멘토 간의 네트워킹을 촉진하여 창업 생태계의 활성화를 도모합니다. 이로써 전국 창업보육센터의 기능을 하는 정부 및 지자체, 민간에 이르는 보육센터에서 예비창업자를 선발하고 초기기업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경영관리 전반을 돕는 전문영역입니다.
‘창업보육전문매니저’는 창업 생태계의 발전과 함께 성장해왔으며, 현재도 많은 창업자에게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 주고 있습니다. 이 자격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사단법인 창업보육협회에서 자격발급시험을 주관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창업 전문가 자격증」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책이 나오기까지 오랫동안 관련 업종에 종사하면서 다양한 심사, 멘토링, 컨설팅 등을 예비창업자부터 코스닥 기업에 이르기까지의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창업보육전문매니저 준비생, 예비창업자, 각 기관 창업 경영담당자 분들게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창업 기초지식부터 실전 시험 대비까지 도움을 드리고자 본 책을 편찬하게 되었습니다. 본 자격증 취득을 도전하는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고맙습니다.
편저자 김진미
목차
Academic Summary
제1과목 기술창업 기초
Chapter 01 기술창업의 이해
• 연습문제
Chapter 02 기술창업과 기업가정신
• 연습문제
Chapter 03 창업 관련 법규
• 연습문제
Chapter 04 기술창업 구상 및 사업타당성분석
• 연습문제
모의고사 기술창업 기초 1·2·3회
제2과목 기술창업 실무
Chapter 01 사업계획 수립과 비즈니스 모델
• 연습문제
Chapter 02 창업기업의 설립 절차
• 연습문제
Chapter 03 기술창업 운영관리
• 연습문제
Chapter 04 지식재산권 관리
• 연습문제
Chapter 05 제품인증
• 연습문제
모의고사 기술창업 실무 1·2·3회
제3과목 기술창업 보육실무
Chapter 01 창업보육센터의 이해
• 연습문제
Chapter 02 창업보육센터 기능과 운영시스템
• 연습문제
Chapter 03 창업보육센터장과 매니저
• 연습문제
Chapter 04 창업보육 관리단계
• 연습문제
모의고사 기술창업 보육실무 1·2·3회
제4과목 기술창업 성장실무
Chapter 01 사업 인허가
• 연습문제
Chapter 02 공장설립
• 연습문제
Chapter 03 기술창업 마케팅
• 연습문제
Chapter 04 M&A 및 IPO
• 연습문제
Chapter 05 기업가치 향상
• 연습문제
모의고사 기술창업 성장실무 1·2·3회
실전 모의고사
실전 모의고사 1회
실전 모의고사 2회
실전 모의고사 정답 및 해설
Appendix
창업보육협회 표준교재 빨리 찾기
참고문헌
Delivery Info
Exchange & Refund Info
파손 및 파본 된 도서만 교환 가능합니다.
온라인 서점에서 구입시에는 본사에서 교환 및 반품이 안 되오니 구입한 곳에서 교환 및 반품 부탁드립니다.
Refund Info
- 소비자분쟁해결 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따라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 A/S는 판매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Review
Q&A
이미지 확대보기
창업보육전문매니저-START UP(유튜브 무료영상)

비밀번호 인증
글 작성시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장바구니 담기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